Suno

혼공스 2챕터 본문

항해99/혼공스

혼공스 2챕터

vlfxhd15 2022. 11. 8. 16:03

2 -1 기본 자료형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자료형이란 자료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문자를 표현할 때는 문자열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숫자를 포현할 때는 숫자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참과 거짓을 표현할 때는 불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false = 0

true = 1

 

typeof (자료) <<<=== 자바스크립트에서 숫자, 문자열, 불 같은 자료형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ex)

> typeof('문자열')

"string"

> typeof(273)

"number"

>typeof(true)

"boolean"

 

괄호는 생략 가능하지만 가급적 사용해주세요.

 

 

== 연산자와 != 연산자 는 '값이 같은지' 를 비교하는 연산자

=== 연산자와 !== 연산자는 '값과 자료형이 같은지'를 비교하는 연산자

 

확인문제

 

다음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적어 보세요. 예측하는것보다 실제로 코드를 입력해 보고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쉬울 수 있습니다.

<script>

   console.log( 2 + 2 - 2 * 2 / 2 * 2 )

   console.log( 2 - 2 + 2 / 2 * 2 + 2 )

</script>

 

실행결과

0

4

 

 

2-2 상수와 변수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저장하는 식별자입니다.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합니다.

변수는 변하는 값을 저장하는 식별자입니다. le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합니다.

상수 또는 변수를 생성하는 것을 선언 이라고 합니다.

상수 또는 변수에 값을 넣는 것을 할당 이라고 합니다.

 

상수는 저장 효율(성능)이 좋지만 변수는 저장 효율(성능)이 나쁘다.

 

증감연산자

변수++ : 기존의 변수값에 1을 더합니다(후위).  

++변수 : 기존의 변수값에 1을 더합니다(전위).

--변수 : 기존의 변수값에 1을 더합니다(전위).

변수-- : 기존의 변수값에 1을 더합니다(후위).

 

 

 

2 - 3 자료와 변수

자바스크립트는 "10" * 10을 하면 100을 출력합니다. 자바스크립트는 내부적으로 자료형을 자동 변환한다.

 

1. 문자로 자동 변환되는 경우

  • 덧셈(+) 연산자를 사용하는 경우

 

 

2. 숫자로 자동 변환 되는 경우

  • 빼기(-), 나누기(/), 곱하기(*) 연산자를 사용하는 경우

 

 

3. Boolean 으로 변환되는 경우

  • 논리부정연산자(!)를 사용하는 경우
  • 조건문(if/switch/for/while)을 사용하는 경우

 

5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사용자로부터 글자를 입력 받을 때는 prompt() 함수를 사용합니다.

어떤 자료형의 값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경하는 것을 자료형 변환 이라고 합니다.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Number() 함수를 사용합니다.

문자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String() 함수를 사용합니다.

불 자료형으로 변환할때 Boolean() 함수를 사용합니다.

 

 

달러 단위를 원화 단위로 변경하기

    <script>
        const rawInput = prompt(' 달러 단위의 금액을 입력해주세요')

        const r = Number(rawInput)
        const a = r * 1207

        alert(` ${r}달러는  ${a}원 입니다.`)
    </script>

'항해99 > 혼공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스 5챕터 (2)  (0) 2022.11.12
혼공스 5챕터  (0) 2022.11.11
혼공스 4챕터  (0) 2022.11.10
혼공스 3챕터  (0) 2022.11.08
혼공스 1챕터  (0) 2022.11.07